Home    -    뿌리찾기    -    가락중앙종친회    -    김해김씨 파의 형성

김해김씨 파의 형성


김해김씨 파(派)의 형성(形成)

우리나라에서 김씨는 크게 나누어 가락국 김수로왕을 시조로하는 김수로왕계와 신라 김알지계로 나누고, 그리고 임진왜란 때 왜장으로 우리나라에 침략해 와서 귀화한 김충선계로 나누어진다.

신라 김알지계는 경주김씨를 추종으로 하고 현달한 조상들의 세거를 중심으로 본관 자체를 분리하여 안동·의성·광산 등 100개의 본관이 다른 김씨로 분리되었다.

김수로왕계 김해김씨는“서기1802년 임술보(壬戌譜)”에는 98개 파가 등재되었으며,“서기1922년 임술석장대동보(壬戌石藏大同譜)”에는 148개 파로 등재되었다.

“서기2016년 가락의 향기 역사의 빛 되어”에는 152개 파,“서기2019년 가락국 역사”에는 303개 파로 되어있다.

1. 김녕군파(金寧君派)ㆍ경파(京派)

휘 목경(牧卿), 고려 충혜왕 때 문과급제, 벼슬이 삼중대광에 이르렀고 김녕군에 봉해졌다.

1세 목경(牧卿)-2세 보(普)-3세 도문(到門)-4세 근(覲)

2. 감무공파(監務公派)ㆍ사군파(四君派)

휘 익경(益卿), 감무(監務=작은 고을의 원)라는 벼슬을 지냈다.

1세 익경(益卿)-2세 시(蓍)-3세 진문(振門)-4세 연(練)

8세 극조(克祧:학천군)-9세 완(完:학성군)-10세 여수(汝水:해성군)-11세 세기(世器:학림군). 

4대에 걸쳐 군봉을 받아 사군파라고도 부른다.

3. 판도판서공파(版圖判書公派)ㆍ삼현파(三賢派)

휘 관(管), 고려 때 봉익대부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냈다. 

절효공 극일·탁영 일손·삼족당 대유 등 3현(三賢)이 배출되어 삼현파라고도 부른다. 후손은 청도에 많이 산다.

1세 관(管)-2세 문숙(文淑)-3세 항(伉)-4세 서(湑)

8세 대유(大有:三足堂)·일손(馹孫) 군수공, 집의공, 한림공, 진사공, 녹사공, 진의공은 모두 판도판서공파의 지파다.

4. 판서공파(判書公派)

휘 유공(維公), 자는 수행(수행), 판서를 지냈다. 후손은 울산에 산다.

1세 유공(維公)-2세 건문(健文)

5.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휘 천익(天翼), 호는 동재(東齋), 벼슬은 절충장군 용양위 부호군을 지냈다. 후손은 월성, 외동에 산다.

1세 천익(天翼)-2세 석태(錫兌)-3세 상국(相國)-4세 득례(得禮)

6. 승사랑공파(承仕郎公派)

휘 지서(之瑞), 승사랑도칠령동정이다. 후손은 경주, 연일에 산다.

1세 지서(之瑞)-2세 사의(思義)

7. 부정공파(副正公派)

휘 평(平), 고려 원종 때 서운관 부정 이조판서를 지냈다. 후손은 용강에 산다.

1세 평(平)-2세 승(丞)

8. 판서공파(判書公派)

휘 첨일(添釰).

9. 판전공파(判典公派)

휘 명택(明澤), 호는 호양재(浩養齋), 고려 공민왕 때 대광도첨의 판전삼사 부사를 지냈다. 후손은 경주 외동에 많이 산다.

1세 명택(明澤)-2세 영손(榮孫)-3세 광해(光海)

10. 판서공파(判書公派)

휘 불비(不比), 호는 신묵재(愼黙齋), 판서를 지냈다. 후손은 대구, 청주, 김천, 창원, 김해, 서울, 능주에 산다.

1세 불비(不比)-2세 수광(秀光)-3세 석공(錫貢)-4세 맹손(孟孫)

11. 좌정승공파(左政丞公派)

휘 만희(萬希), 호는 척재(惕齋) 또는 월포(月甫), 서기1392년(恭讓王 4年)7월에 이태조(李太祖)가 조선(朝鮮)을 개국(開國)하면서 전조(前朝)의 유신(遺臣)들을 명하였으나“치사이군(恥事二君)”이라 하여 임하지 아니하니 권간(權奸)들이 정몽주당(鄭夢周黨)이라 죄를 꾸며 서기1393년(太祖 2年)10월에 80세의 고령(高齡)으로 제주로 유배(流配)되었다. 공은 제주에서 11년 동안 유배생활(流配生活)을 하시면서 후학을 가르치시다가 유배생활을 마치고, 이곳에 당시 20세인 손자 예(禮)를 남겨둔 체 서기1404년(太宗 4年) 봄에 고향인 토산월성(兎山月城)으로 귀향(歸鄕)하여 그해 7월6일 타계(他界)하니 수(壽)는 91세이시다. 유배 생활을 하시는 동안에 유초(遺草)로는 양해원사록(襄海原辭錄) 및 은감유성록(殷鑑幽省錄)과 맥서여감(麥黍餘感)을 비롯하여 시가(詩歌) 29편을 남기셨다. 후손들은 제주도에 산다.

1세 만희(萬希)-2세 혁(赫)-3세 예(禮)-4세 봉(奉)-5세 독회(禿廻)

12. 참봉공파(參奉公派)

13. 숭정공파(崇政公派)

14. 부호군공파(副護軍公派)

15. 판결사공파(判決事公派)

16. 진사공파(進士公派)

17. 충정공파(忠靖公派)

18. 유수공파(留守公派)

19. 운은공파(雲隱公派)

20. 문경공파(文敬公派)ㆍ시중공파(侍中公派)

21. 부사공파(府使公派)

22. 한림공파(翰林公派)